몇 년 전부터 길거리에서 전동킥보드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 비해 그 수도 상당히 늘어났고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의 수도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단거리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생활 수단으로 자리 잡은 전동킥보드는 그동안 도로교통법의 제재를 받지 않아 늘어난 수요만큼 사건, 사고가 끊이질 않았습니다.
그로 인해 2021년 5월 13일부터 개정된 전동킥보드 도로교통법이 시행되었습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이용연령이 13세에서 16세로 변경되었습니다.
(13세 미만 어린이 운전 시 보호자에게 과태료 10만원)
★
또한 원동기 면허를 취득하지 않으면 탑승할 수 없습니다.
현재는 원동기 자전거 면허로 대체하지만 추후 전동킥보드처럼 개인형 이동 장치에 대한
면허가 신설될 예정입니다.
(무면허 운전 범칙금 10만원)
★
안전모, 즉 헬멧 착용이 필수입니다. 안전모 미착용으로 인해
인명피해가 일어날 수 있는 만큼 중요한 사항입니다.
(안전모 미착용 범칙금 2만원)
★
또한 동승자 탑승, 즉 2인 이상 탑승 불가합니다.
(2인 이상 탑승 시 범칙금 4만원)
★
또한 통행도로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아 인도에서 마찰이 있던 만큼 통행도로도 규정되었습니다.
전동킥보드는 자전거도로와 차도 우측 가장자리로 주행해야 합니다.
(지정차로 위반 시 범칙금 1만원)
그리고 서울시는 정차·주차 위반 차량 견인에 대한 조례를 발표했습니다.
여기에 개인형 이동 장치, 즉 전동 킥보드와 같은 이동 수단에도
불법 주정차 견인료 4만원을 부과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길거리에 무분별하게 방치되어 있는 전동킥보드에 대한 규제를 하는 셈입니다.
불법 주정차를 한 전동킥보드 이용자에게는 3시간의 유예시간을 주고
시간이 초과되면 벌금을 부과한다고 합니다.
꾸준히 전동킥보드에 주차에 대한 사회문제가 빈번히 일어나는 만큼 국회에서도 법 개정을 염두해 두고 있습니다.
모두가 안전하고 피해 없는 전동킥보드 이용을 해야겠죠?!
'사회현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팀목 전세대출 한도 확대 (청년•신혼부부) (0) | 2022.10.12 |
---|---|
아이폰, 아이패드 LED 알림, 플래시 설정 하는 법 (0) | 2022.04.03 |
커피 먹고 약, 약 먹고 커피 괜찮을까? (0) | 2021.05.02 |
데이팅앱 급격한 성장 (0) | 2021.04.18 |
콤플렉스 그리고 트라우마 (0) | 2021.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