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지식

백미 vs 현미 뭐가 더 좋을까?

by works6etter 2022. 11. 4.

백색 식품이 건강에 위험하다는 소리를 자주 들어보셨을 겁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주식인 쌀. 그중 압도적으로 백미의 수요가 많은 편인데 다이어트를 하거나 건강을 위해서 현미밥을 드시는 분들도 적지 않게 보셨을 겁니다. 그렇다면 백미와 현미 어떤 것을 섭취해야 건강에 좋은 걸까요? 

▶  백미

백미는 벼의 씨눈과 쌀겨 등을 벗겨낸 완전 도정된 쌀입니다. 그래서 흰색을 띠는 것이죠.

 

▶  현미

현미는 완전 도정되지 않은 상태로 쌀겨가 남아있어 갈색빛을 띠는 것입니다.

 

▶  칼로리

210g 기준   백미밥_313 kacl

                       현미밥_368 kcal

 

보시다시피 의외로 칼로리는 오히려 현미밥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왜 현미가 더 다이어트 식품으로 알려져 있을까요?

 

이는 혈당지수(GI)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백미는 현미보다 혈당지수가 높습니다. (백미 혈당지수 대략 50~55, 현미 혈당지수 대략 85~89 정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영양성분

백미

사진으로 보시다시피 백미의 주요 영양성분은 탄수화물입니다. 소량의 단백질과 지방이 함유되어 있긴 하나 매우 적은 편입니다.

 

현미

현미는 쌀겨가 남아있기 때문에 좋은 영양분이 훨씬 많습니다. 비타민B, C, E는 물론이고 미네랄, 무기질, 단백질, 식이섬유 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이렇게 영양성분만 놓고 보면 백미보단 현미를 먹는 것이 다이어트뿐만이 아니라 건강에도 이로워 보입니다. 하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 각각의 장단점과 섭취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단점과 섭취방법

백미는 맛이 좋고 부드러워 소화가 잘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백미는 당뇨를 유발한다는 말이 있는데 그건 앞서 말했듯 백미의 혈당지수가 높기 때문입니다. (혈당지수가 높으면 인슐린을 과잉 분비하게 되어 비만과 성인병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백미밥만 먹었을 때 해당되는 이야기입니다. 

 

우린 대부분 반찬들과 함께 백미를 섭취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될 것은 없습니다. 백미에게 부족한 영양소(비타민, 무기질,  단백질 등)를 반찬으로 섭취한다면 백미도 건강에 큰 문제없이 먹을 수 있습니다.

 

 

현미는 위에서 말했듯 좋은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현미의 거친 식감과 현미에 포함된 렉틴이란 단백질 성분은 사람에 따라 소화력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소화력이 좋지 않은 성인은 물론 노인이나 어린아이는 현미를 섭취하는 것을 권장하진 않습니다.

 

소화력이 정상인 사람은 렉틴을 무리 없이 소화시킬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의 경우 장의 불편함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즉, 현미의 좋은 영양성분이 많다고 한들 몸에 맞지 않으면 흡수를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건강한 성인이어도 현미를 섭취할 때는 반나절 이상 불린 현미로 밥을 짓고 오래오래 꼭꼭 씹어 드셔야 합니다.

 


백미와 현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읽어보셨듯 무엇이 더 건강에 좋다고 확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백미와 현미에 대한 오해가 풀렸으면 좋겠습니다. 어떤 게 더 좋다 나쁘다를 따지기보단 골고루 영양소를 갖춘 식단을 먹는 게 훨씬 건강에 이롭습니다.

 

지금까지 백미와 현미에 대한 오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2.11.04 - [건강 지식] - 가을에 꼭 먹어야 하는 제철 음식 굴&매생이 효능

 

댓글